
1. 회사 개요
현대중공업은 선박과 해양구조물, 플랜트 및 엔진 등의 제조, 판매를 주 사업목적으로 2019년 6월 1일을 분할기일로 하여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분할 전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분할 존속법인)에서 물적 분할되어 신규 설립되었습니다.
주요 사업 중 조선사업(매출비중 75%)은 일반 상선, 고부가가치 가스선, 해양 관련 선박, 최신예 함정 등을 건조하고 있으며, 해양플랜트 사업(매출 비중 6%)은 원유 생산ㆍ저장설비 공사, 발전ㆍ화공플랜트 공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엔진기계사업(매출 비중 18%)은 대형엔진, 힘센 엔진, 육상용 엔진 발전설비 등을 공급하고 있으며, 친환경 제품도 자체 개발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 등의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조선사업은 수주에서 인도까지 2~3년이 소요되는 장기 PROJECT 계약으로 진행기준으로 매출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공사 총 제조원가에 대한 실 집행 제조원가의 투입비율을 기준으로 진행률을 산정하고, 계약금액에 진행률을 곱하여 매출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선박건조가 시작되는 설계 시점부터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주요 기자재가 투입되는 독 작업 전후로 대규모 매출이 인식되며, 인도 시 계약 대금과 동일한 수준의 매출이 인식되고 수금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판매 조직과 경로 및 전략은 아래와 같습니다.
[조선부문]
1) 판매경로
ㆍ선주와의 직접매매 계약 형태
2) 판매방법 및 조건
ㆍ판매방법 : 개별 주문 생산, 제품 공급계약에 의거 현금, 외상, 위탁판매
ㆍ조 건 : 연불, 기성불, 납품불
3) 판매전략
ㆍ친환경ㆍ고효율 디자인 개발을 통한 신규 및 노후선 대체 수요 창출
ㆍ대 선주 유대관계 강화 및 판촉활동 증진
ㆍ경쟁사와의 기술력 차별화 및 우수 기술 적극 홍보
ㆍ조선사업부문의 시장 선도 제품의 지위 유지 및 시장 점유율 확대
[해양플랜트 부문]
1) 판매 경로
ㆍ국내외 주요 민간 및 국영 석유회사와의 직접매매 계약형태
2) 판매방법 및 조건
ㆍ판매방법 : 개별 주문 생산, 수요 예측 생산, 제품 공급계약에 의거 현금, 외상, 위탁 판매
ㆍ조 건 : 연불, 기성불, 납품 불
3) 판매전략
ㆍ원가 절감을 통한 가격 경쟁력 및 기술 경쟁력 확보 방안 마련(국산화, 표준화, 그룹 통합 구매를 통한 규모의 경제화 및 다수의 공사 수행 경험 활용)
ㆍ프로젝트 초기 단계부터 설계 협력사들과 협업하여 경쟁력 있는 수행방안 도출
ㆍ주요 국영 석유업체의 발주공사에 대비하여 현지 업체들과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
ㆍ프로젝트 수행 리스크 및 공정 관리 방안을 사전에 마련하여 고객 만족도 증대
ㆍ가격 경쟁력 확보 방안 마련(신규 Sub-vendor 발굴을 통한 가격경쟁력 방안 마련)
ㆍ프로젝트 초기 단계부터 설계 협력사들과 협업하여 경쟁력 있는 수행방안 도출
ㆍ정유공장의 핵심기기인 중질유 촉매 접촉분해시설(RFCC), 석유화학 공장의 주(主) 기기인 각종 반응기(Reactor), 수소 반응기 및 대형 압력용기, 핵융합 설비 등 특수기기 제작사업 분야 특화 및 강화
ㆍ전략지역 영업력 집중(예:동남아,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러시아 지역 등)
ㆍ국내외 발주처, 국내외 EPC 업체와 공사 초기부터 밀착영업
[엔진기계부문]
1) 판매 경로
ㆍ실수요자와의 직접매매 및 Agent를 통한 매매 계약형태
ㆍ주요 전력청 및 국내외 발전플랜트 업체와 단독 입찰 또는 공동입찰 계약형태
2) 판매방법 및 조건
ㆍ판매방법 - 개별 주문생산
ㆍ조 건 - 기성불, 납품 불
3) 판매전략
ㆍ그룹사 外 조선소 집중 영업
ㆍ라이선스 공동개발 저압 DF 엔진의 성공적인 시장 진입을 기반으로 시장 확대
ㆍLNG운반선 및 LNG Fueled 선박 발주 증가에 따른 DF(이중연료) 엔진 영업 집중
ㆍ탄소중립/탄소저감 연료 추진선(메탄올 등) 주 추진/보기 엔진 시장 확대
ㆍH35DF, H32/40 등 경쟁우위 및 전략제품 집중 영업
ㆍ연안 여객선, LNG 예인선 등 힘센 추진 패키지 영업 강화
ㆍ힘센 DF 엔진, SCR, BWTS 등 고객사 기술설명회 활성화
ㆍ환경기계제품(SCR, FGSS, BWTS 등)과 엔진의 Package 영업으로 시장점유율 확대
ㆍ박용 펌프(Hi-Well Pump) 시장 재진입 및 확대 추진
ㆍ친환경 엔진을 선호하는 육상 발전시장에 가스/DF 엔진으로 적극 대응
ㆍHybrid(태양광+엔진 발전), Bio Fuel, IPP(민자발전) 사업 진출 등 다양한 시장 진출 시도
ㆍ기 실적 보유 중남미 지역 EPC 공사 영업 집중
ㆍ해외 원자력발전소 비상발전기 공급자격 획득 (중국, 러시아) 및 현지 영업 강화
2. 자금 사용 목적
이번 공모로 발생하는 자금 1,070,000백만 원은 운영자금, 채무상환자금, 기타 자금에 사용됩니다.
운영자금인 122,345백만 원은 선박 건조 등에 필요한 자재 구매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최근 조선업의 선박대금 입금 구조는 헤비테일(Heavy-tail)로 선박 건조 완료 후 인도시점에 선가의 50% 이상을 수취하는 방식으로 계약이 체결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처럼, 신조선 건조 진행에 따라 매출대금이 회수되지 않기 때문에, 늘어나는 수주 속에 원활한 자금운영을 위해서 공모금액 중 122,345백만 원을 자재구매 대금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채무상환자금 1,89,805백만 원은 Usance L/C(단기차입금) 중 일부 금액을 상환함으로써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자금으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또한 하기의 공모자금은 납입일로부터 하기 차입금 상환일까지 특정금전신탁, MMF 등 금융기관 단기 금융상품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기타 자금인 757,890백만 원은 연구개발 투자자금으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2021년 하반기부터 향후 5개년간 그린쉽 개발에 176,450백만 원, 선박 Digitalization에 133,900백만 원, 스마트 야드 구축에 321,190백만 원, 수소 인프라 구축에 126,310백만 원에 해당하는 자금을 연구개발에 투자함으로써 미래 신사업 선점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입니다. 또한 하기의 공모자금은 납입일로부터 하기 차입금 상환일까지 특정금전신탁, MMF 등 금융기관 단기 금융상품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공동대표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이고, 공동주관회사는 하나금융투자, KB증권, 인수회사로 삼성증권, 대신증권, DB금융투자, 신영증권입니다. 청약 기일은 9월 7일~ 9월 8일, 환불일 9월 10일, 상장일은 9월 16입니다. 절반은 균등배정이 이루어지고, 중복청약은 금지됩니다.
일반청약자 배정물량과 최고 청약 한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 청약한도(100%) |
미래에셋증권 | 1,421,053주 ~ 1,705,263주 | 71,000주 ~ 85,000주 |
한국투자증권 | 1,421,053주 ~ 1,705,263주 | 46,000주 ~ 56,000주 |
하나금융투자 | 592,105주 ~ 710,526주 | 29,000 주 ~ 35,000 주 |
KB증권 | 592,105주 ~ 710,526주 | 18,000주 ~ 22,000주 |
삼성증권 | 207,236주 ~ 248,685주 | 10,000주 ~ 12,000주 |
대신증권 | 88,816주 ~ 106,579주 | 4,000주 ~ 5,000주 |
DB금융투자 | 88,816주 ~ 106,579주 | 8,800주 ~ 10,000주 |
신영증권 | 88,816주 ~ 106,579주 | 4,400주 ~ 5,300주 |
아래 내용은 38 커뮤니케이션의 공모주 분석 자료 및 전자공시시스템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 공모 가격이 밴드 상단을 초과하여 결정되었는가
→ 희망 공모가액 52,000~60,000원, 확정공모가 60,000원, 적합


밴드 최상단에 안착했습니다. 밴드 최상단 이상을 제시한 비율이 거의 100% 수준이네요.
장외시장 거래동향은 38 커뮤니케이션에 따로 나와있지는 않네요.
2. 의무보유확약비율 20% 이상인가
→ 약 46.9% 적합

미확약을 제외한 수량을 전체 수량으로 계산한 결과 약 46.9% 로 적합합니다.
3. 기관경쟁률이 1000:1 이상인가
→ 1835.87 : 1 적합

잘 나가던 다른 공모주 이상의 경쟁률인 약 1800대의 경쟁률을 보여주네요. 이 정도면 최고 경쟁률에 거의 근접했겠는데요?
4. 보호예수율이 60% 이상인가
→ 83.8% 적합
5. 대주주의 보호예수기간이 1년인가
→ 0.5년 부적합

대주주의 보호예수기간은 0.5년 이상으로 부적합, 보호예수율은 83.8%로 적합하네요.
5개 팩터 중 4개 항목이 적합합니다. 유가증권 특성상 항상 최대주주의 보호예수기간은 6개월로 고정되어있었던 것 같은데, 보호예수기간 팩터를 제외하면 4개 중 4개가 적합합니다. 괜찮네요.
이상으로 글 마치겠습니다. 다들 미천한 글이나마 참조하셔서 성투하시기를 바랍니다. 언제나 투자는 본인 판단으로!!!
'방구석 돈굴리기 > 공모주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리콘투 공모일정 및 공모가 등 정리 (0) | 2021.09.13 |
---|---|
바이오플러스 공모일정 및 공모가 등 정리 (0) | 2021.09.10 |
일진하이솔루스 상장 후기 (0) | 2021.09.04 |
와이엠텍 공모일정 및 공모가 등 정리 (0) | 2021.08.30 |
에이비온 공모일정 및 공모가 등 정리 (0) | 2021.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