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TF 27

[미국]20년 1분기 미국 배당주 결과 및 배당금 현황

코로나 19의 여파. 미국 배당주에도 크게 미쳤습니다. 특히 고배당주들은 전부 리츠 및 캐피탈에 치중되어 대부이자 및 부동산 임대료를 통해 배당을 하는 방식이기에 이번 사태에 더욱 더 영향이 컸습니다. 일단 현황부터 공유하고 시작해야겠네요. 대분류 비율 금액(USD) 현재가 보유수량 종목 비고 고정배당 우선주 24% 13.0% 804.70 30.95 26 ISHARES IS PREFERRED STOCK ETF 우선주ETF 10.9% 677.88 16.14 42 VANECK VECTORS PREFERRED~ 우선주ETF 배당성장주 48% 18.0% 1,118.44 139.81 8 디지털 리얼티 트러스트 IT 리츠 11.6% 720.75 48.05 15 리얼티 인컴 리테일 리츠 18.8% 1,164.23 6..

[ETF]20.03 새로운 포트폴리오, 새로운 시작 - 1개월차

저번에 0주차로 해서 글을 썼었습니다. 그 뒤로,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작성해서 금주 월요일부터 찬찬히 매수하기 시작했었습니다. 제 멘토님이 말씀하신대로 월요일이 오자마자 주식을 모으기 시작했고, 코스피는 다시 2000선을 회복, 결국 싸게 팔고 비싸게 산 격이 되긴 했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미리 준비하기를 잘 했다 싶습니다. 어차피 생각하고 있던 리밸런싱인 만큼 좋게 좋게 생각해야겠습니다. 일단 입금하고 3월 6일 장 종료 결과입니다. 분류 종목명 비율 금액 총보수 선진국 주식 KODEX 미국S&P500선물(H) 15% 7,533,465 0.25% TIGER 유로스탁스50(합성 H) 10% 5,037,570 0.25% 이머징 주식 TIGER 200 15% 7,533,000 0.05% 선진국 채권 TIGE..

[ETF]자, 다시 시작해보는 적립식 투자입니다 - 0월차

뭐, 이전에 썼던 글과 같이 금요일에 시원하게 접었었습니다. 한 1개월정도는 쉬면서 상황을 보고 천천히 다시 시작하려 했었습니다. 허나 이 얘기를 금요일 저녁에 제 멘토(삼촌입니다)께 말씀렸었고, 일요일에 바로 전화가 왔었습니다. 간단하게 내용을 설명하자면... 장기투자를 하는 입장에서 주식시장을 떠나면 안된다 경제는 꾸준히 우상향할 것이라는 믿음을 가져라 이런식으로 사고팔고 하면 결국 타이밍만 재는 투자를 하게되니 불안감이 커진다 아직 설정한 손해에 닿지 않았는데 빠지는것은 마음이 약해서다 등등의 충고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새로이 종목을 선정하고, 3월부터 적립식으로 투자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우선 책을 읽으면서 기존의 포트폴리오의 문제점을 찾아보기 시작했습니다. 아래 표는 지금껏 운용해온..

20.02 리스크를 회복하기는 개뿔... 만만하게 본 코로나<중단>

하아..... 분명 2월 초에만 해도 코로나 금방 회복했다고, 좋아하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때 딱 느낌이... 분명히 이번에 잘 통제되서 다행이다. 역시 잠깐에 흔들림이었구나. 이런 깜짝 이슈는 금방 회복되는구나. 하고 있었습니다. 허나 현재 상황은.... 일단 결론부터 말하자면... 네 오늘 오전부로 싸그리 매도했습니다. 결국 2월 초에 수익률이 ???라고 좋아하던게 다 까먹고 끝나버리고 말았습니다. 분명 장기투자, 가치투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제 멘토께 여쭈었을때도 다 일시적인 리스크이며, 장기투자를 하는 한 회복될 것이다, 장기투자를 하는 입장에서는 절대 시장을 떠나면 안된다고 말씀하셨지만... 제 새가슴으로는 그렇게 하지 못하고 그만 정리를 해버렸습니다. 그렇다고 아무 생각없이 정리한것은 아니..

[연금]20.02 연금저축과 IRP 동시에 관리하면 어떨까요

안그래도 현재 연금저축과 IRP를 동시에 넣고있는 상황입니다. 연금저축은 작년 총 400만원을 달성해서 약 66만원을 환급받게 되었고, IRP는 20만원을 입금, 3만원가량의 환급금이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매월로 따지면 연금저축 33만원, IRP 25만원이 최대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는 돈이기에 월마다 58만원씩을 입금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지만... 저도 아직 미혼에 차량 욕심도 있고 해서 최대한 타협을 본 금액인 연금저축 30만원, IRP 10만원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월 40만원씩을 20년 뒤에 뺄 수 있는 돈으로 만든다는 것이 어찌보면 아깝기도 하지만... 딱 물가상승률 만큼의 수익을 내고 싶은 마음뿐입니다. 여차하면 납입을 중단하면 되니까 꾹 참고 진행토록 하겠습니다. 현재 플랫폼의 경우, 연금저..

20.02 리스크를 생각보다 금방 회복했어요 - 9주차

일단 글을 시작하기전에 푸념부터.... 생산관리라는 직무가 실제로 이런것일지 잘 모르겠네요... 실제로 현장에서 무언가를 개선하는 쪽 보다는 전산상에서 어떻게든 실적을 올리려고 하는, 눈가리고 아웅 방식이라는 느낌입니다... 물론 실제로 무언가를 개선하기는 쉽지 않고, 매년 실적은 올려야 하기에 어쩔수 없기도 하고, 결국 말 붙이기 나름이니까 이해가 되지 않는것은 아닌데... 참 스트레스네요.. 이래서 FIRE족이 요새 핫한것 같습니다. 그러려면 역시 돈을 열심히 모아야겠네요!!! 자, 1월도 이미 다 갔고 이제 2월입니다. 1월의 핫 이슈가 뭐가 있었을까요??? 역시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이 큰 문제였던것 같습니다. 2월 7일 현재 기준으로 코스피 지수는 거의 제자리로 돌아갔지요? 실제로 제 포트폴리오의..

20.01 새해 첫 투자 - 8월차

새해가 밝았습니다. 1월도 역시 100만원 입금하여 뿌리기 시작했습니다. 회사에서 아침에 슬쩍슬쩍 매입해서 빠르게 끝냈네요 오늘은. 요새 이란과 미국간 갈등으로 뉴스는 한창 떠들고 있는데... 어째 미국 증시는 계속 오르고 있지요?? 지금 불확실성을 띄는 뉴스들이 주로 미국 대통령 내용, 중동 갈등 내용인것 같습니다. 이렇게 불안정한 상황에서도 지수는 무난하게 유지되고 있으니.. 불확실성이 해소된 이후에는 어떤 전개가 될 지 모르겠네요.. 증시는 오를것으로 보이지만요 ㅎㅎㅎ 1월 매수 보겠습니다. - TIGER 유로스탁스50 : 5만 - KINDEX 일본 : 5만 - KINDEX 베트남 : 20만 - KINDEX 싱가포르 리츠 : 10만 - KODEX 국고채 : 40만 - KODEX 종합채권 : 20만 ..

19.12 항상 느껴지는 포트폴리오 변경의 유혹 - 7월차

항상 그렇듯 100만원 입금하여 뿌리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기계적으로 5일경에 입금할 계획 세우고 6일에 바로 매수하는 습관이 배어가고 있는듯 하다. 일본과 무역마찰 이후로 코스피 지수가 2100선에 안착한것 같네요....라고 저번달에 썼건만, 미중간 긴장에 따른 불안감 때문인지 뭔지 다시 2000대 초반으로 떨어졌다가, 오늘 또 2080선으로 회복하고.... 이게 진짜 한국 경제가 박스권 안에 있다는건가... 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래도 이렇게 ETF에다 아무생각없이 뿌리는게 공부가 부족해도 어느정도의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이라는 생각이 격하게 들었습니다. 12월 매수 보겠습니다. - TIGER 200 : 35만 - KBSTAR 고배당 : 30만 - KINDEX 베트남 : 10만 - KINDEX 아..

[연금]연금저축 뜯어고치기

한동안 연금저축 관련 글을 올리지 못했습니다... 물론 게으른것도 있겠지만!! 핑계를 대자면... 펀드슈퍼마켓에 등록한 입금일자가 좀 늦는 편이라 한번 잊고, 펀드 사고나서 반영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네 다 핑계입니다 엉엉 이번에도 역시 펀드슈퍼마켓 연금저축 계좌로 33만원이 입금되었고, 곰곰히 생각해본 결과, 펀드를 한번 갈아엎을 계획입니다. 1년만 보자 보자 하면서 넣다보니 스스로 흥미가 떨어져서 안되겠네요. 새로이 정리하는 연금저축펀드는 6개 펀드로 선정할 생각입니다. 국내주식, 국내펀드, 해외주식2, 해외펀드, 배당관련 이렇게 6개의 펀드로 싹 갈았으며, 해외주식은 단순히 국가 지정이 아닌, 혼합되어있는 펀드로 선정했습니다. 앞으로 각각의 %는 아직 미정이지만, 일단 전부 매수가 완료되면 ..

19.11 의외로 마이너스가 발생한 채권 - 6월차

네 이번달도 역시 100만원 입금하여 뿌리기 시작했습니다. 매월 6일에 입금되어 이번에는 회사 외부 교육때문에 왔다갔다 하느라 조금 늦어 8일에 수업중에 황급하게 매수 진행했습니다. 일본과 무역마찰 이후로 코스피 지수가 2100선에 안착한것 같네요. 덕분에 고배당 ETF도 수익률이 양수로 돌아섰는데... 덕분에 떨어지기 시작한 국내채권들이 영 비리비리 합니다.. 그 외에는 뭐 금요일에 코스피지수 살짝 떨어진 정도?? 일단 11월 매수 보겠습니다. - KBSTAR 고배당 : 10만 - KINDEX 싱가포르리츠 : 20만 - KODEX 종합채권 : 20만 - KODEX 국고채3년 :50만 매수 후 10월 8일 장 종료 결과입니다. 대분류 중분류 종목 수익률 주식 64% 한국 35% 20.0% 9,388,81..

반응형